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및 가입대상, 지금도 가입 가능합니다

by ν경제플레이φ 2023. 8. 5.

 

청년희망적금에 이어서 청년도약계좌가 나오면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미 가입자가 300만 명을 넘어섰는데 아직 가입을 못하신 분들도 많을 것 같아요. 가입대상, 신청방법, 금리, 실제수령액 등 복잡한 절차를 쉽게 풀어보았습니다. 가입을 고민 중이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하기

 

 

 

청년도약계좌는 매달 신청을 받고 있으며, 8월은 1일부터 11일까지 가입 신청 가능 기간입니다. 신청을 통해 가입 적합여부 심사를 통과해야만 계좌 개설이 가능하며,  8월 7일~18일까지 계좌 개설 가능 기간입니다. 아래 사항을 통해 본인의 자격 여부를 꼼꼼히 확인하여 정부 혜택을 놓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 가입대상 >

아래 세 개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1. 나이 

만 19세 ~ 34세의 청년

*계좌 개설일 기준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차감하여 나이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소득

직전 과세기간(202년 1월~12월) 근로소득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2023년 7월 이후 신청자의 경우, 2022년 소득을 기준으로 가입여부를 확인합니다.

*2022년 무소득자인 경우,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2023년 소득만 있는 경우, 24년도 7월 이후에 신청이 가능합니다.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됩니다.  즉, 2022년도에 소득이 발생했지만, 아직 정확한 금액이나 세금 산출에 필요한 정보가 제출되지 않아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라면 2021년도 소득으로도 인정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소득에 따른 혜택

총급여 6,000만원 이하 = 정부기여금 지급 + 비과세 적용

총급여 6,000만원 초과 7,500만원 이하 = 비과세 적용

 

 

3. 가구소득

중위소득(가구소득)기준 180% 이하

: 서민금융진흥원의 심사를 통해 적합 판정을 받아야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아래를 통해 본인의 가구 소득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주민등록등본 상에 기재되어 있는 가구원 수를 기준으로 부모, 형제, 자매 등 가족 소득을 모두 합한 금액입니다.

 

*금융소득종합세 대상자는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가구원수 기준 중위소득 180% (연)
1인 가구 42,007,939
2인 가구 70,417,836
3인 가구 90,605,542
4인 가구 110,615,328
5인 가구 130,129,524
6인 가구 149,191,286
7인 가구 168,060,787

 

 

< 신청방법 >

은행 앱을 통한 비대면 가입만 가능합니다. 은행 어플로 가입신청을 하면 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으로 가입요건을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통보받으면 계좌개설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시간은 약 3~4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본인의 가입요건 등을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다시 한번 자세하게 확인해 보세요.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을 위한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주소

 

가입 가능한 11개 은행

- 국민, 기업, 농협, 신한, 우리, 하나, 부산, 대구, 전북 광주, 경남 은행

- 은행 업무시간 오전 9시~오후 6시 30분까지 가입 가능.

 

 

 

 

< 가입기간 >

5년 만기 (의무) 

* 생애 첫 주택구입, 장기 실직 등의 특수한 경우에는 중도인출 및 재가입이 가능합니다.

 

 

< 가입금액 >

월 최소 1천원 ~ 최대 7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혜택 중 하나는 정부가 개인소득별로 납입액의 3~6%를 기여금으로 지급한다는 점입니다. 개인소득별 정부기여금 지급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자를 포함하여 모두 비과세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소득별 정부기여금 구간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비교 바로가기

 

 

 

 

 

 

 

 

 

 

 

 

 

 

 

 

 

 

 

반응형